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경찰성, 마약 단속위해 8월부터 다크웹 전문수사팀 운영

728x90
반응형


□ 경찰청은 다크웹을 통한 마약류 거래 단속을 위해 8월부터 ‘다크웹 전문수사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 마약류 수사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청 마약수사대 전담팀을 확대하여 다크웹 수사 전종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 마약류 범죄는 국경의 물리적 한계를 벗어나 ‘생산→운송→소비→재투자’라는 순환을 거쳐 확대 재생산되는 특징이 있다. 


 ◦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다양화된 경로로 마약류가 유통되어 국민의 안전을 침해하는 중대한 위해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생활영역 전반이 사이버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다크웹을 통한 유통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 이러한 위협에 미국 등 여러 국가의 경찰이 공조하여 2017년 중반 이후 몇 개의 주요 다크웹 운영자를 검거하고 사이트를 폐쇄하였으나,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untact) 문화 확산으로 다크웹 마약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청은 이러한 국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더욱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요구하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마약류 사범을 상시 지속해서 단속하고 있다.


<경찰의 마약류사범 검거 현황>

(단위: 명)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년 7월

마약류사범

7,302

8,853

8,887

8,107

10,411

7,038

인터넷

마약류사범

968

(13.3%)

1,120

(12.7%)

1,100

(12.4%)

1,516

(18.7%)

2,109

(20.3%)

1,352

(19.2%)


 ◦ 특히 올해 7월까지 국내에서 대마를 재배하거나 외국에서 마약류를 밀반입 후 다크웹에서 가상통화를 이용하여 판매한 피의자 총 395명을 검거(구속 36명)하였다.


 <다크웹 수사 사례(’20년 1월~7월)> 

지방청별

주요 사례

주 요 압수물

서 울 청

2015. 102020. 7월 수도권 일대 주택 4개소에 대마 재배시설 설치하여 대마를 재배하고, 다크웹에서 가상통화를 이용하여 대량의 대마를 판매한 9명 검거(구속2)

대마 55

(55억 원 상당)

8 비트코인

(1억 원 상당)

2020.16월 총 3회에 걸쳐 대마 4.6을 밀반입 후, 다크웹에서 가상통화를 이용하여 대마를 판매한 8명 및 매수자 등 25명 검거(구속8)

대마 5.3

액상대마 266

경기남부청

2019. 102020. 3월 해쉬쉬오일 1를 밀반입 후 주거지에서 액상대마 2를 제조하고, 다크웹에서 가상통화를 이용하여 액상대마를 판매한 7명 및 매수자 등 55명 검거(구속7)

액상대마 5.6l

20172020. 4월 아파트 내에 대마 재배시설 설치하여 대마를 재배하고, 다크웹에서 가상통화를 이용하여 대마를 판매한 2명 및 매수자 등 46명 검거(구속2)

액상대마 1.6

현금 1,070만원

몰수 18천만원


 ◦ 다크웹은 마약류나 성착취물 등이 유포되는 인터넷 뒤의 또 다른 어둠의 공간으로 불리면서 가상통화와 결합하여 사회적으로 미치는 해악이 늘고 있어, 경찰은 추적기법 개발 및 상시적 단속을 통해 다크웹 공간의 마약류를 근절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다크웹을 이용한 마약류사범 검거 현황): ’16년 80명(구속5) → ’17년 141명(구속19) → ’18년 85명(구속24) → ’19년 82명(구속3) → ’20년 7월 395명(구속 36명)


□ 경찰청은 다크웹을 통한 마약류 범죄에 대한 선제적·전문적 대응을 위해 권역별 전문수사팀을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8월)부터 서울청·경기남부청·경남청 등 3개 지방경찰청 마약수사대에 다크웹 전문수사팀을 지정하여 마약류 범죄 수사체제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 또한, 해외 마약 수사기관과 긴밀히 공조하여 다크웹 사이트 운영자 검거 및 사이트 폐쇄로 마약류 확산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등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마약류 범죄에 대해 끝까지 추적하여 뿌리를 뽑을 방침이다.


"본 저작물은 경찰청에서 '2020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