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은 3월 10일 「2021년 제6차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에 따라 만 65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예방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
○ 예방접종전문위원회에서는 영국과 스코틀랜드 연구결과* 등을 검토하여 실제 고령층 대상 평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입원 및 중증예방 효과가 입증되었기에 만 65세 이상에서 사용을 권고하였다.
* 영국: 고령층(70대 이상)에서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유사한 수준(70%정도)의 질환 예방, 입원 예방효과 확인
* 스코틀랜드: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입원 예방효과 확인(각 최대 85%, 94%)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결과에 따라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65세 이상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약 37.6만 명)에 대한 예방접종을 3월 중에 시행할 예정이다.
□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1차 접종 후 코로나19로 확진 받은 사람 및 아나필락시스 반응자에 대한 2차 접종에 대한 세부 실시기준에 대해 심의하였다.
○ 1차 접종자 중 코로나19 확진된 경우 2차 접종은 실시하여야 하며, 격리 해제 후에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였고, 접종 시기는 확진자가 수동항체치료를 받은 경우, 최소 90일 이후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그 외에는 백신별 접종 권장 간격*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는 것으로 권고하였다.
* 화이자 백신 21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8~12주
- 단 회복 후 접종일정은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진행할 것을 당부하였다.
○ 1차 접종자 중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난 접종대상자는 다른 플랫폼* 백신으로의 교차접종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므로 2차 접종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 또한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공급 상황과 접종간격이 길수록 효과가 증가한다는 임상시험결과*를 고려하여 8~12주의 접종 간격을 적용할 때 2차 접종 예약일 기준을 현재 8주에서 10주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였다.
* 2.10일 WHO SAGE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1, 2차간 접종간격이 길수록 효과가 높아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접종간격을 8~12주로 권고
□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직업 특성상 해외출입이 잦지만 자가격리 예외를 적용받는 항공승무원*에 대해 변이바이러스의 해외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2분기 예방접종 대상군에 포함하였다.
* 우리나라 항공사 소속 국제선 여객기 승무원 등 약 2만 여명이 대상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결과에 따라 2분기 예방접종 계획을 수립하여 다음 주에 발표할 계획이다.
"본 저작물은 질병관리청에서 '2021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내장 수술에 사용하는 인공수정체 종류와 고려 사항, 시술 후 주의 사항 (0) | 2021.10.22 |
---|---|
'소득세법·법인세법 시행령' 개정안 / '21년 7월 시행 (0) | 2021.03.11 |
경기도, 2021년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 2만여 대 보급 (0) | 2021.03.11 |
'선박검사 법령정보시스템' 3월10일부터 운영 (0) | 2021.03.09 |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12개 기관 신규 선정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