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2020 소프트웨어 교육 페스티벌 온라인 개최 / 11월3일~23일

728x90
반응형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3일(화)부터 23일(월)까지 「2020 소프트웨어 교육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ㅇ 이 행사는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위해 2015년부터 개최되고 있으며, 그동안 오프라인으로 이틀간 진행되어 온 것과 달리 비대면 시대에 발맞추어 3주간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ㅇ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행사에 참여할 수 있으며, ‘함께 즐기는 소프트웨어, 같이 누리는 인공지능’을 주제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인공지능 교육에 대해 함께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다. 


 ◦ (일시) ’20. 11. 3.(화) ~ 11. 23.(월) / 3주간

    ※ 개막식: 11. 3.(화) 14:00~14:30 / 실시간 온라인 송출(네이버TV)

 ◦ (장소) 비대면 온라인 개최(festival.software.kr)

 ◦ (주최)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 한국과학창의재단

 ◦ (참가대상) 교사, 학생, 학부모 등 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에 관심 있는 누구나

 ◦ (주제) ‘함께 즐기는 소프트웨어, 같이 누리는 인공지능’




□ 올해는 온라인의 장점을 살려 공간적‧시간적 한계를 넘어 누구나 쉽게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241개 기관이 참여한 온라인 전시관을 비롯해 16개의 부대행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ㅇ ‘온라인 전시관’에서는 선도학교‧중심대학‧교육대학 등 171개의 학교와, 36개의 교육기술(에듀테크)‧정보통신(IT)‧비영리기관, 14개의 연구기관, 20개의 정부부처 및 시도교육청이 참여하여 운영 사례, 교육용 콘텐츠 등을 전시하고 가상현실(VR)을 통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한다.


< 온라인 전시관 4개 테마관 구성 >


테마관

주요내용

참여기관

학교

학교 안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

운영 사례 및 성과 전시 및 체험

171

산업

최신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기술 및

교육용 콘텐츠 등 전시 및 체험

36

연구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 관련 연구

성과 및 사업 추진 현황 소개

14

정책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교육 정책

추진현황 및 성과 소개

20


 ㅇ ‘부대행사’로는 세계 인공지능의 흐름과 교육 현황을 공유하기 위한 학술대회, 개발자와 기업인들의 이야기 마당, 온라인 체험 교실, 정보통신(IT) 기업들과 함께하는 교원 연수, 인공지능과 함께 만드는 음악, 온라인 코딩파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온라인 체험 교실 사전신청 누리집: event.software.kr


< 부대행사 3개 테마 프로그램 구성 >


테마

공감마당

온라인 학교

온라인 놀이터

프로그램

- 글로벌 소프트웨어 교육 컨퍼런스

- 공감 이야기

- 개발자 이야기

- 학생 이야기

-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콘서트

- 온라인 교실

- 소프트웨어 에듀톤 결선대회

- 소프트웨어 교육 으뜸교원 워크숍

- 학교 속에 녹아드는소프트웨어인공지능 교육 연수

- 소프트웨어 교육 전문연수

- 인공지능 수업 엿보기

- 온라인 나들이

- 인공지능 X 음악

- 인공지능 X 댄스 챌린지

- 인공지능 X 교육

- 온라인 코딩파티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번 행사가 세계 주요 나라에서 진행 중인 인공지능 교육 분야의 변화와 혁신을 공유하고,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준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을 체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ㅇ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이번 행사에서 우리 소프트웨어 교육의 현주소와 미래를 살펴보고, 앞으로 더 나은 교육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볼 수 있는 자리가 되기를 기원한다.”라고 말하며 “과기정통부도 교육부와 함께 소프트웨어 교육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본 저작물은 교육부에서 '2020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보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정책브리핑 사이트 www.korea.kr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